안녕하세요! 잡식성삐삐입니다 :)
다들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에 감기 걸리진 않으셨나요? 삐삐는 조금 목이 따가운 것 같기도 하네요.
오늘 제가 포스팅해볼 주제는 부동산 거래 종류에 대한 이야기인데요!
부동산 거래 종류라고 하니 너무 거창한 주제같지만, 당장 원룸계약만 하러가도, 매매, 전세, 월세, 사글세 등의 용어를 발견하실 수 있답니다.
저는 20살이 되자마자 자취를 시작해서 이 용어에 대해 잘 알고 있었지만, 많은 사회 초년생, 그리고 대학생들이 모르고 인터넷에 질문을 하더라구요!
이를 보고, 삐삐가 포스팅 주제로 다뤄야되겠다고 결심했답니다~! ㅎㅎ
그럼, 오늘은 쉽지만 생소하다면 생소한 부동산 거래 종류! 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:)
1. '매매'
✔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부동산 거래는 바로 '매매'가 아닐까 싶습니다.
매매는 소유권 이전(재산권)을 약정하고 그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는 계약입니다.
소위 말하는 '내 집 마련'은 '매매'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죠.
✔ 매매시 발생되는 부대비용
1) 취득세
2) 등기비용
3) 부동산 수수료
✔ 매매 이전 꼭 확인해야 하는 것
- 실소유자인지, 당사자 확인하기
- 건축물관리대장 및 토지대장 확인
- 등기부등본 확인
- 기본적인 시설 확인 (누수, 단열/결로, 곰팡이 등)
2. '전세'
✔ 매매 다음으로 많이 선호하는 거래는 '전세'입니다.
전세는 소유자가 임차인에게 자신이 소유한 부동산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끔 합의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것입니다.
일정한 기간동안 전세로 빌려 사용하고 그 대가로 보증금을 지불하며, 이는 임대기간이 끝나면 다시 돌려받습니다.
통상적으로 전세금은 주택 매매가격의 70%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전세금 보호 등의 이유로 대출금과 전세금을 합친 액수가 매매가와 비슷하다면 주의해야 합니다.
✔ 전세시 발생되는 부대비용
- 중개수수료
- 전세권 등기비용
✔ 전세 이전 꼭 확인해야 하는 것
- 자금에 맞는 부동산
- 부동산 등기부 확인
- 실 소유주 확인
- 전세 금액이 매매 금액의 어느정도인지 파악
3. '월세'
✔ 원룸이나 아파트 등 소유자가 가장 선호하는 거래는 '월세'입니다.
보증금 소액에 월세를 책정하여 임대기간에 대한 금액을 월 단위로 납부하는 방식인데요.
보증금은 돌려받을 수 있으나, 월세는 순수 임대 비용으로 나가게 됩니다.
✔ 월세 계약 시 발생되는 부대비용
- 중개수수료
✔ 월세 이전 꼭 확인해야 하는 것
- 장판, 벽지 등의 상태
- 월세금 이외의 관리비, 인터넷 사용 유무 등 확인 필요
4. '전월세'
✔ 전월세란, 전세와 월세를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.
월세 비용을 줄이기 위해, 보증금을 높이 지불하는 방식인데요.
최근 고정 지출을 줄이기 위한 움직임이 커지면서, 전월세를 찾는 사람들도 많아지는 추세라고 합니다.
✔ 전월세 이전 꼭 확인해야 하는 것
- 전월세 전환계산기로 확인
- 계약 만기 보증금에 대한 서로 계약관계 명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음
5. '사글세'
✔ 사글세란, 최근에는 찾아보기 힘들어진 방식입니다.
월세에서 파생된 종류 중 하나이며, 무보증금 월세를 사글세라고 부르기도 합니다.
보증금 없이 일정 기간 동안의 집세를 일시불로 납부하고 거주하는 형태이며, 여관에서 장기 투숙하는 방식도 일종의 사글세로 볼 수 있습니다.
매매부터 사글세까지 다양한 부동산 거래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았는데요!
내 집마련을 하기 위해서는 매매를 하셔야 하고, 목돈이 있다면 전세를 선택하시면 되겠죠.
월세는 매달 없어지는 돈이라고 생각하니, 너무 아깝더라구요.
애매한 목돈을 가지고 계시다면 전월세도 나쁘지 않은 옵션인 것 같습니다.
이상 :) 삐삐였습니다~! ㅎㅎ
'✔ ECONOM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카오톡(카카오페이)으로 환전하기 :: 카톡으로 신청하고 하나은행에서 수령까지! (3) | 2019.11.04 |
---|---|
신용카드와 관련된 신용등급에 대해! (2) | 2018.04.22 |
2018년부터 달라지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에 대해서 (2) | 2018.04.07 |
DSR 대출 규제 시행!! (0) | 2018.04.06 |